나는 회계 업무를 하는중 보통 대손충당금 설정을 1%로 설정하는것이라 생각했으나 ! 그렇지 않았다. 그래서 더 알아본 대손. -기업이 이익창출을 하며 매출을 확대 하던 중 -> 대금회수 지연 및 채무 불이행이 발생 -> 부도 발생 -위와 같은 상황 대비해 매출채권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추정함. -기업은 매년 말 경험치에 의해서 매출채권 중 회수불능액을 추정하여 비용을 인식 회수 불능(손실)을 비용으로 인식해 수익에 대응시켜야 하기 때문이다. 신경써야 할 부분 ! 전년도 말 대손충당금과 당기 대손 확정액의 크기에 따라 회계처리가 다름 대손 : 매출채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할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기대신용손실 : 채무불이행 발생확률 ,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회수하지 못할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기대신용..